[KBBY회원소식|신간] 오언과 군인 아저씨 | 글 리사 톰슨 | 그림 이은지 | 옮김 양재희 | 여유당 > 회원소식란

본문 바로가기


회원소식란

[KBBY회원소식|신간] 오언과 군인 아저씨 | 글 리사 톰슨 | 그림 이은지 | 옮김 양재희 | 여유당

작성자 KBBY사무국
작성일 2022-07-11 11:21 | 조회 381 | 댓글 0

본문

dc3c1502a7eedd943251a4cd01f9f0bb_1657506040_9045.jpg

오언과 군인 아저씨 

글 리사 톰슨 | 그림 이은지
옮김 양재희

 

여유당 


 

■ 추모와 공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모두를 위한 이야기 

 

『오언과 군인 아저씨』는 인간의 깊은 감정을 작품 안에 탁월하게 녹여내 따듯한 감동과 위로 를 전한다고 평가받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영국 작가 리사 톰슨의 소설이다. 뜻하지 않은  상실로 인해 하루하루를 힘겹게 지내던 소년이, 철거 위기에 내몰린 군인 석상을 지키고자 용 기를 내면서 상실감에서 헤어나오는 과정이 잔잔하면서도 감동적으로 펼쳐진다.  

 

이야기는 ‘오언’이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는 것에서 시작한다. 돌로 만들어진 아저씨에게 말을  걸게 된 사연, 남몰래 간직한 꿈, 그리고 엄마와 힘겹게 살아가는 이야기들이 담담하고 솔직 하게 펼쳐져, 마치 오언의 일기를 육성으로 듣는 듯하다. 이야기를 들으며 오언 가족에게 무 슨 사연이 있었는지를 유추하고, 상실의 터널을 통과하는 오언과 엄마의 마음에 공감하며, 군 인 석상을 지키려는 오언을 힘껏 응원하게 된다. 그리고 오언의 용기가 만들어 낸 변화에 가 슴이 뻐근해지며 오언의 앞날에 따스한 햇살이 비추기를 빌게 된다.  

 

오언의 이야기는 상실로 인해 고통받는 이들과 주변 사람들 모두에게 따듯한 위로와 희망을  안겨 준다. 3년째 이어지고 있는 팬데믹 상황, 그리고 지구 한쪽에서 벌어지고 전쟁으로 인해  여느 때보다 뜻밖의 상실을 더 많이 겪고 있는 요즘, 진심 어린 애도와 공감의 태도는 더욱  절실하다. 그래서 이 소설이 더욱 값지다.   

  

 

 

■ 아빠 같고 친구 같은 군인 석상 - 위로와 애도의 대상 

 

  “모든 일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날부터 나는 돌로 만들어진 군인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뜻하지 않은 상실로 마음에 상처를 안고 있는 사람 혹은 사회에게는 충분한 애도의 시간 과 마음을 터놓고 위로받을 대상이 필요하다. 오언에게 군인 석상은 바로 그런 존재였다.  1차 세계대전 당시 전사한 군인들을 대표하는 석상이지만, 오언에게는 그 이상이었다.  

 

2년 전, 군인이었던 아빠가 시리아에 파병되었다가 살아 돌아오지 못한 뒤(이  사실은  소설  후반부에서야  밝혀진다),  오언과  엄마는  하루하루를  힘겹게  지낸다.  자신도  버거운  상태에서  더 큰 상실감과 무력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엄마까지 챙겨야 하지만, 오언은 누구에게도 슬 픔과 걱정을 털어놓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늘 지나쳤던 동네 공원에 있는 낡은 군인 석상이 다르게 보이기 시작하고 오 언은 석상에게 말을 걸기 시작한다. 그날부터 벤치에 앉아 있는 군인 석상은 묵묵히 오언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군인 석상은 아무 말이 없지만, 어떤 이야기도 할 수 있고 어떤 이야기 도 들어주는 아빠 같은 존재이자 소중한 친구가 된다.  

 

 

■ “아저씨를 지켜야 해!” - 믿음을 지키려는 용감한 행동 

 

한편  시의회는  공원  정비를  계획하며  군인  석상을  철거하기로  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오언은 군인 석상을 지킬 방법을 찾는다. 시의회 담당자와 신문사에 철거를 취소해 달라 는 메일을 보낸다. 하지만 너무 낡아 용맹함을 기리기에는 부족하니 더 이상 존재 의미가 없 다는 답신을 받는다.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가 있지!  

  아저씨면 충분한데!  

  아저씨는 이미 많은 걸 상징하고 있는데!” 

 

오언의  심장은  떨린다.  군인  석상은  그저  단순한  돌조각이  아니라,  모든  전사자를  대표하고  그들의 용감함을 기리는 동시에 유족들의 아픔을 어루만져 주는 상징임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오언에게는 이제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아빠와도 같은 존재이자 속마음 을 터놓은 유일한 친구니까. 그런 군인 석상을 사라지게 놔둘 수는 없었다. 오언은 다른 사람 들의 도움이 필요함을 깨닫는다. 

 

  “다른 사람들 도움이 필요했다.  

  나 혼자서는 아저씨를 구할 수 없었다.” 

 

군인 석상에 대한 믿음, 그리고 그 믿음을 지켜내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은 자기 안에 갇혀 있던 오언을 세상 속으로 이끈다.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요청에 공감하고  화답하는 사람들을 통해 오언의 마음도 서서히 열리기 시작한다.  

 

 

■ 용기 있는 행동이 가져온 변화 - 공감과 진심의 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오언은  글쓰기도  잘하고  미술  시간도  좋아하며  남몰래  키우고  있는  꿈을  이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평범하면서도 속  깊고  성실한 소년임을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아빠의 죽음 이후 평범한 일상은 허물어진다. 엄마는 무기력에 빠져 오언 을  돌보지  못하고,  학교에서  오언은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자발적으로  발표하는  일이  없기로 유명하다. 그런데 시장과 시의원이 학교 도서관 개관식에 참석한다는 걸 안 오언 은 다시 기를 내기로 결심한다. 완강히 거절했던 시 발표, 그걸 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거기서 내가 시를 읽는다면?  

  해낼 수 있지 않을까?  

  군인 석상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소망과  함께  ‘평범한  하루’라는  제목으로  시를  지은  오언은,  아빠를  잃은  슬픔과  그리움을  표현한 뒤 다시는 소중한 존재를 잃고 싶지 않다 고,  군인  석상을  철거하지  말라고  호소하며  시를  맺는다.  

 

  “이미 한 사람을 떠나보낸 나, 

  더는 누구도 떠나보낼 수 없어요.   군인 석상을 구해 주세요. 

  아저씨를 데려가지 마세요.” 

 

오언의 시에 청중들은 감동의 물결에 휩싸인다. 잠시 고요가 지나가고 박수갈채가 터진다.  이러한 감동은 또 다른 변화를 만들어 낸다. 누구나 아빠의 죽음을 알았지만, 누구도 오언 에게 그 이야기를 차마 꺼내지 못했다. 그런데 오언 스스로 아빠 이야기를 사람들 앞에서  한 것이다. 이제 오언은 꽁꽁 닫았던 마음의 빗장을 풀고 반 친구 메건의 위로를 진심으 로 받아들이고 고마워한다. 

 

이런 변화는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온다. 오언은 엄마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 동한다. 엄마의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고, 아줌마의 도움으로 엄마는  병원에 가고  조금씩  나아진다. 정원을 재개장하는 날, 시의원으로부터 초대장을 받은 오언은 엄마와 함께 참석 한다. 떨리는 마음으로 정원 안에 발을 들여놓는 오언, 군인 석상은 거기 있을까? 

 

군인 석상을 지켜내기 위한 오언의 용기 있는 행동은 사람들을 감동시켜 변화를 이끌어낸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공감받고 지지받는 경험을 한 오언도 마음의 문을 열고 세상 밖으 로 나온다. 이렇듯 공감과 진심의 힘은 무척 세다. 오언과 엄마가 단번에 상실감에서 벗어날  수는  없겠지만,  오언을  지켜본  독자들은  믿음과  희망을  느낄  것이다.  환하고  따스한  햇살이  비치는 마지막 장면처럼.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소식란 목록

Total 651
회원소식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61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숲속의 아침 | 채상우 글, 그림 | 키다리 KBBY사무국 11-08 158
560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빛을 찾아서 | 글‧그림 박현민 | 달그림(도서출판 노란돼지) KBBY사무국 11-08 196
559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팡팡 역사퍼즐 | 홍은아 (지은이) | 파란등대(푸른등대) KBBY사무국 11-08 109
558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토끼와 고슴도치의 오늘도 좋은 날♥ | 하라 마사카즈 (지은이),이시카와 에리코 … KBBY사무국 11-08 125
557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안녕 본본 | 정유진 (지은이) | 노란상상 KBBY사무국 11-08 111
556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어마어마한 거인 | 글·그림 라울 니에토 구리디 | 옮김 이숙진 | 반달(킨더랜드… KBBY사무국 11-08 98
555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쌔근쌔근 아기 염소 | 다시마 세이조 (지은이),황진희 (옮긴이) | 미래아이… KBBY사무국 11-08 119
554 텍스트 [KBBY 회원소식|신간] 엄마는 모를걸? | 심은지 그림책 | 봄볕 KBBY사무국 11-08 111
553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세상에 없는 나라 지도책 (원제 Atlas des lieux litteraires… KBBY사무국 11-08 126
552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뽀뽀뽀가 무슨 뜻이야? | 신영희 지음 | 황진희 옮김 | 봄볕 KBBY사무국 11-08 128
551 텍스트 [KBBY회원소식|전시] 그림책상상. 학교 미출간 더미북 전시 KBBY사무국 10-14 205
550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나는 | 글 이한비 | 그림 고정순 | 반달 KBBY사무국 10-14 181
549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한입에 꿀꺽! 공룡 그림책 : 생명 탄생부터 공룡 멸종까지 지구의 역사 | 에마뉘… KBBY사무국 10-14 166
548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자유(원제 Free) | 글그림 바루 | 옮김 김여진 | 주니어 RHK KBBY사무국 10-14 152
547 텍스트 [KBBY회원소식|신간] 가방에 뭐 있어? | 정해영 쓰고 그림 | 키다리 KBBY사무국 10-14 165
게시물 검색
상단으로

하단배너

  • 길벗어린이
  • 보림출판사
  • 봄봄
  • 비룡소
  • 책읽는곰
  • 문학동네
  • 시공주니어
  • 봄볕
  • 루덴스
  • 초방책방
  • 북극곰
  • 그림책공작소
  • 사계절
  • 그림책도시
  • 대한독서문화예술협회
  • 여유당
  • 이야기꽃
  • 크레용하우스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마포푸르매도서관
  • 샘터사
  • 휴먼인러브
  • 보리
  • 소원나무
  • 키다리
  • 웃는돌고래
  • 이야기꽃도서관
  • 서울독서교육연구회
  • 그림책사랑교사모임
  • 늘보의섬
  • 방정환연구소
  • 고래뱃속
  • 한솔수북
  • 아시안허브
  • 한국어린이교육학회
  • 킨더랜드
  • 두근두근그림책연구소
  • 키위북스
  • 노란돼지
  • 현암사
  • 북뱅크
  • 빨간콩
  • 스푼북
  • 애플트리테일즈
  • 한국그림책학교
  • 봄개울
  • 윤에디션
  • 딸기책방
  • 스토리스쿨
  • (사)한국그림책문화협회
  • 놀궁리
  • 마래아이
  • 사단법인 아름다운배움
  • 올리
  • 분홍고래
  • 노란상상
  • 주니어RHK
  • 모든요일그림책
  • 라플란타
  • 키즈스콜레
  • 문화온도 씨도씨
  • 소동출판사
  • 도서출판 핑거
  • 도서출판 책폴
  • 북스그라운드
  • 창비
  • 미래엔

KBBY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Korean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KBBY는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인쇄산업과 비영리민간단체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등록번호 2011-7호]

사무국 전화: 010-5815-6632 / 사무국 이메일 : kbby1995@naver.com